1월 2일 | 독일 제6산악사단 "Nord"의 일부 부대가 독일군의 공세를 지원하려 도착하기 시작합니다. 지형과 날씨에 적합한 장비를 갖추고 전투에 단련된 숙련된 병사들로 독일 지원군의 중요한 전력으로 여겨지는 부대였습니다. |
1월 3일 | 독일군의 공세가 절정에 이르자 프랑스군은 스트라스부르를 철저하게 방어할 것을 요구합니다. 프랑스군이 처한 곤경을 이해한 Eisenhower가 이에 동의합니다. |
1월 4일 | 히틀러는 아르덴 공세가 실패했음을 인정합니다. 그리고는 동부 전선에 있던 독일군에게 라인강을 건너 공격하도록 명령합니다. |
1월 5일 | 독일군이 감브스하임 근처 스트라스부르 북쪽 라인강에 교두보를 구축합니다. |
1월 6일 | 노르트빈트 작전은 목표를 빗셰에서 아그노로 바꿉니다. 심각하게 전력이 약해진 제21기갑사단과 제25기갑척탄병사단은 아그노숲으로 진격하기 시작합니다. |
1월 7일 | 노르트빈트 작전의 첫 번째 단계가 완료되었지만, 독일군의 승리라 여길 만한 성과는 거의 없었습니다. |
1월 8일 | 미국 제12기갑사단이 감브스하임 교두보에 대항해 초기 공격을 시작하지만, 하루 동안 이어진 전투 끝에 밀려납니다. |
1월 9일 | 독일군과 미국 제14기갑사단이 하텐-리터쇼펜과 아그노숲으로 통하는 관문을 장악하고자 일주일간 교전합니다. |
1월 10일 | 제315보병대의 일부가 도착해 하텐 마을에서 미군의 공격을 지원하기 시작합니다. 하지만 독일군에 의해 얼마 못 가 격퇴됩니다. |
1월 11일 | 독일군은 하텐 마을의 교착 상태를 타파하고자 우회하여 서쪽에 위치한 리터쇼펜을 확보하려 시도합니다. 두 지역 모두 피비린내 나는 전장이 되어 독일군과 미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, 어느 쪽도 상대를 압도하지는 못합니다. |
1월 12일 | 추가 병력이 투입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독일군과 미군은 하텐-리터쇼펜의 넓고 개방된 구역을 두고 서로 공격하여 해당 지역은 살육의 전장이 됩니다. |
1월 13일 | 양측의 지원군이 하텐-리터쇼펜 지역에 도착하기 시작합니다. 이에 따라 양 진영 모두 전력이 강화됩니다. |
1월 14일 | 붉은 군대가 독일의 중심부를 공격해 일부 독일 사단을 라인강에서 물러나게 만듭니다. |
하텐-리터쇼펜에 위치한 독일군은 미국의 지원군을 물리쳐 후퇴시킵니다. |
1월 15일 | 하텐-리터쇼펜에서 교전이 더 격렬해집니다. 독일의 Flammpanzer 38(t) 전차가 지하실과 참호에 있던 미국의 보병들을 몰아냅니다. |
1월 16일 | 미국 제12기갑사단이 독일이 차지한 헤를리스하임 근처 감브스하임 교두보에 공격을 재개합니다. 하지만 격렬한 전투 끝에 미국 제12기갑사단은 다시 격퇴됩니다. |
1월 17일 | 제10SS기갑사단이 헤를리스하임 전투에 합류합니다. 화력을 지원하여 미군 대대 2개를 완전히 전멸시킵니다. |
1월 18일 | 동이 트기 전 헤를리스하임에 주둔한 제17기갑보병대대의 진지가 완전히 초토화되고 대대장이 포로로 잡힙니다. |
1월 19일 | 미군은 헤를리스하임에서 독일군을 몰아내려 하지만 독일은 교두보를 지켜냅니다. 제10SS기갑사단이 아그노 전선으로 이동합니다. |
1월 20일 | 프랑스 제1군이 콜마르 포켓의 세력을 줄이고자 치어풀 작전의 첫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. |
1월 21일 | 미국 제21군단의 제3사단이 콜마르 공격을 시작합니다. |
1월 22일 | 독일군은 알자스 평야에 병력을 집결시켰지만, 모더강 경계선을 넘지는 못합니다. 프랑스 제2군단은 콜마르 포켓의 북서쪽에 위치한 에르슈타인의 돌출부를 공격하기 시작합니다. |
1월 23일 | 미국 제3사단의 제30보병연대는 일강까지 진격하여 작은 다리를 발견합니다. 그곳에서 독일군과 교전하지만, 격퇴당하고 일부는 후퇴합니다. |
1월 24일 | 다음 날 독일군과 미군은 일강의 다리 위에서 다시 교전합니다. 전투는 팽팽하게 이어지다 결국 전차의 지원을 받은 미군 제15보병연대가 독일군을 물리칩니다. |
1월 25일 | 히틀러가 독일군의 공세를 중단하라고 명령합니다. 이로써 노르트빈트 작전의 주요 전투는 끝을 맺습니다. 전선은 작전을 시작하기 전의 위치로 옮겨지기 시작합니다. |